메뉴 건너뛰기

아름다운글

본문시작

2019.04.03 19:39

‘참을 인(忍)’ 의미

조회 수 89 추천 수 0 댓글 0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

0401_1

여러 명의 제자를 거느린 스승이 있었는데
그중 골칫덩이 제자가 한 명 있었습니다.

다른 제자들에 비해 현명하고 이해력이 높아
스승의 가르침을 금세 습득하는 뛰어난
제자였지만 한 가지 큰 문제점이 있었습니다.

술을 마시면 금방 흥분하고 자제를 하지 못해
다른 사람과 주먹 다툼이 끊이지 않는
사람이었던 것입니다.

고민하던 스승은 어느 날 그 제자를 불러
나무 상자 하나를 제자에게 맡겼습니다.

“상자 안에 든 물건은 오래전부터
우리 가문에 대대로 내려오는 도자기가 들어있다.
너는 내가 누구보다 믿고 아끼는 수제자이니
한 달간 그 도자기 상자를 맡기려고 한다.
이 한 달 동안 그 도자기 상자를 절대로
몸에서 때어놔서는 아니 될 것이야.”

존경하는 스승의 보물을 보관하게 된 제자는
한 달 후 다시 도자기를 돌려주었습니다.
스승은 제자에게 물었습니다.

“최근 한 달 동안은 술자리에서 시비가 붙어도
한 번도 싸우지 않고 참았던 것 같은데
그 연유가 무엇이냐?”

“혹시 싸움이 벌어지면 품속에 보관했던
스승님의 보물이 깨질까 두려워 도저히
화를 낼 수가 없었습니다.”

스승은 제자에게 ‘참을 인(忍)’을 종이에
크게 써서 주며 말했습니다.

“칼날 인(刃) 자 밑에 마음 심(心) 자가 놓여있다.
너의 마음속에는 이 도자기를 보관한 상자보다
훨씬 무겁고 날카로운 칼날이 있다.
이러고도 네가 깨닫지 못한다면 그 칼날이
너를 심하게 찌를 날이 올 것이 분명하니
내 심히 두렵구나.”

스승의 깊은 사랑과 진의를 깨달은 제자는
‘참을 인(忍)’이 써진 종이를 항상 몸에 지니고
경거망동하는 일이 없었다고 합니다.

 

0401_3

 

참을 인(忍)의 칼날은
참지 못하는 자를 가장 먼저 찌릅니다.
하지만 그 칼날을 잘 사용하면
온갖 미움과 증오 그리고 분노를
싹둑 잘라버릴 수 있습니다.

나아가 인고의 삶을 터득하여
그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
인격이 주어질 것입니다.

 

# 오늘의 명언
힘보다는 인내심으로 더 큰 일을 이룰 수 있다.
– 에드먼드 버크 –


  1. 뱃사공과 선비

    Date2019.02.25 By이주영 Views60
    Read More
  2. 가슴속 태극기를 꺼내다

    Date2019.03.04 By이주영 Views71
    Read More
  3. 경찰서에 간 아이들

    Date2019.03.12 By이주영 Views48
    Read More
  4. 체력을 먼저 길러라

    Date2019.03.19 By이주영 Views73
    Read More
  5. 초봄-(임병한)

    Date2019.03.22 By임병한 Views69
    Read More
  6. 더 퍼스트 펭귄

    Date2019.03.26 By이주영 Views69
    Read More
  7. 목련-(임병한)

    Date2019.03.26 By임병한 Views56
    Read More
  8. ‘참을 인(忍)’ 의미

    Date2019.04.03 By이주영 Views89
    Read More
  9. 빛-(임병한)

    Date2019.04.05 By임병한 Views62
    Read More
  10. 숨결-(임병한)

    Date2019.04.05 By임병한 Views92
    Read More
  11. 노르웨이의 라면왕

    Date2019.04.08 By이주영 Views64
    Read More
  12. 사랑하는 엄마에게

    Date2019.04.16 By이주영 Views76
    Read More
  13. 고귀함-(임병한)

    Date2019.04.17 By임병한 Views59
    Read More
  14. 피안-(임병한)

    Date2019.04.17 By임병한 Views76
    Read More
  15. 또 다른 이름

    Date2019.04.24 By이주영 Views83
    Read More
  16. 양손이 없지만, 난 할 수 있어

    Date2019.04.29 By이주영 Views69
    Read More
  17. 그리움-(임병한)

    Date2019.05.02 By임병한 Views43
    Read More
  18. 사랑-(임병한)

    Date2019.05.02 By임병한 Views56
    Read More
  19. 나무를 심는 할아버지

    Date2019.05.06 By이주영 Views80
    Read More
  20. 서로 자기 돈이 아니라는 사람

    Date2019.05.13 By이주영 Views78
    Read More
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... 33 Next
/ 33